WEB STORAGE
- WEB STORAGE란?
HTML5 에는 웹 사이트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구조인 Web Storage 스펙이 포함되어있습니다. Web Storage의 개념은 키/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패턴입니다. 그리고 영구저장소(LocalStorage)와 임시저장소(SessionStorage)를 따로 두어 데이터의 지속성을 구분할 수 있어 응용 환경에 맞는 선택이 가능합니다. Web Storage는 기존 웹 환경의 쿠키(Cookie)와 매우 유사한 개념입니다. 사실 거의 차이가 없어보일지라도 몇 가지 쿠키의 단점을 극복하는 개선점이 도입되었습니다.
쿠키는 여전히 유효하고 꽤 적절한 클라이언트 저장도구 입니다. HTML5 에서 Web Storage 스펙을 새로 추가했지만 쿠키를 배제하는 것은 아닙니다. HTML5 에서도 여전히 쿠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Web Storage 차이점
- 쿠키는 매번 서버로 전송된다.
사이트에서 쿠키를 설정하면 이후 모든 웹 요청은 쿠키정보를 포함하여 서버로 전송됩니다. Web Storage 는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존재할 뿐 서버로 전송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. 이것은 네트워크 트래픽 비용을 줄여 준다는 주요한 장점이 됩니다.
- 단순 문자열을 넘어(스크립트) 객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.
자열 기반 데이터 이외에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객체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은 개발 편의성을 제공해 주는 주요한 장점이 됩니다. 브라우저의 지원 여부를 확인해 봐야 하는 항목입니다.
- 용량의 제한이 없다
쿠키는 개수와 용량에 있어 제한을 걸어 두고 있습니다. 하나의 사이트에서 저장할 수 있는 최대 쿠키 수는 20개 입니다. 그리고 하나의 사이트에서 저장할 수 있는 최대쿠키 크기는 4KB 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 Web Storage 는 이러한 제한이 없습니다. 그러나 쿠키도하위키를 이용하면 이러한 제한을 일부 해소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쿠키의 제한으로 까지 데이터를 저장할 일이 없습니다.
- 영구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
쿠키는 만료일자를 지정하게 되어 있어 언젠가 제거됩니다. 만료일자로 지정된 날짜에 쿠키는 제거되는 것입니다.(만료일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세션 쿠키가 됩니다) 만일 영구 쿠키를 원한다면 만료일자를 굉장히 멀게 설정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.
WebStorage는 만료기간의 설정이 없습니다. 즉 한번 저장한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. 이것이 쿠키와의 차이점입니다. WebStorage와 쿠키의 차이점에 대해서 WebStorage가 특별히 좋은 이유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. 다만 한가지 매번 서버로 전송되지 않는다는 특징은 꽤나 유용해 보입니다.
-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
Web Storage는 데이터의 지속성과 관련하여 두 가지 용도의 저장소를 제공합니다.
우선 기본적으로 Web Storage는 쿠키와 마찬가지로 사이트의 도메인 단위로 접근이 제한됩니다. 다시 말해 A 도메인에서 저장한 데이터는 B도메인에서 조회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. 이것은 데이터의 보안적 측면에서 당연한 원칙이라 하겠습니다.
- LocalStorage
LocalStorage 저장한 데이터를 (명시적으로) 지우지 않는 이상 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합니다. 앞서 말한대로 도메인마다 별도로 로컬 스토로지가 생성됩니다. Windows 전역 객체의 LocalStorage 라는 컬렉션을 통해 저장/조회가 이루어집니다.
- SessionStorage
SessionStorage는 데이터의 지속성과 액세스 범위에 특수한 제한이 존재합니다. SessionStorage는 windows 전역 객체의 sessionStorage라는 컬렉션을 통해 저장/조회가 이루어집니다.
- 데이터 유지 측면
SessionStorage는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보관되지 않습니다. 이는 마치 브라우저 기반 세션 쿠키와 그 성질이 비슷한데, 현재 페이지가 브라우징 되고 있는 브라우저 큰텍스트 내에서만 데이터가 유지됩니다.
LocalStorage는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데이터는 보관되어 다음번 접속에도 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, SessionStorage는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데이터도 같이 지워집니다. 즉 브라우저 종료되면 SessionStorage도 삭제된다는 것입니다.
- 데이터 범위 측면
SessionStorage 역시 Web Storage의 기본 보안 처럼 도메인별로 별도로 생성됩니다. 여기에 더불어 SessionStorage는 같은 사이트의 같은 도메인이라 할지라도 브라우저가 다르면 서로 다른 영역이 됩니다(즉 브라우저 컨텍스트가 다릅니다)
탭 브라우징이나 브라우저를 하나 더 실행해서 같은 페이지를 실행했을 때, 이 두 페이지의 SessionStorage는 각각 별개의 영역으로 서로 침범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.(도메인만 같으면 전역적으로 공유 가능한 LocalStorage와 구분되는 특징이라 하겠습니다.)
WebStorage의 보안은 서로 다른 도메인의 데이터 침범을 막고는 있지만 클라이언트, 즉 사용자를 막고 있지는 않습니다. 클라이언트는 얼마든지 저장된 값을(임의로)수정이 가능합니다. 이것은 쿠키와 동일한 개념입니다. 그렇다고 쿠키에 비해 별다른 보안 취약점을 더 가진 것은 아닙니다. 따라서 개발자는 사용자에 의한 이러한 임의 변경에 항상 예의 주시하고 방어 코드의 작성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.
출처: https://kcizzang.tistory.com/entry/SessionStorage-와-LocalStorage-차이점 [정윤문경아빠의 이야기:티스토리]
'웹 개발 공부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잘못 올린 파일 히스토리 삭제 (0) | 2022.09.18 |
---|---|
클라이언트/서버/API (0) | 2022.01.19 |
인스타 클론 코딩 작업중 (0) | 2021.12.26 |
pymongo CRUD (0) | 2021.12.15 |
mongoDB시작하기 (0) | 2021.12.15 |